나는 뿌리다. 며칠 전부터 끊임없이 비가 내리고 있다. 더는 빗물을 마시고 싶지 않지만 나는 뿌리인지라 계속 마셔야만 한다. 이대로 가면 내 위에 뻗은 나의 몸체와 머리가 썩어버릴 것이 분명하지만 나로서는 어쩔 도리가 없다. 나는 뿌리라서 물을 마시도록만 설계되었고 입을 다무는 방법은 알지 못한다. 절망적인 마음에 내 몸체나 머리와 대화를 하고 싶었지만 나는 그 방법을 모른다. 나는 계속 물을 마시기만 하는 것이다. 내 모두가 썩어버릴 것을 알면서도 내게는 방법이 없다. 가끔 내가 있는 곳까지 잔뿌리를 뻗은 다른 뿌리들에게 이러한 이야기를 하면 「그러나 우리는 뿌리일 뿐이지 않은가」라는 대답만 돌아올 뿐 전혀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는 없다. 익사할 것 같은 기분 속에서도 계속 물만 마시는 고통을 공유하는 이들이건만 사실 우리에게는 달리 할 말이 없다. 도대체 며칠 째 계속 비가 오는지 모르겠다.
이렇게 비가 오다보면 불어터져 썩기 전에 흙 째로 떠내려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만일 그런 날이 온다면 난 죽기 전에 한 번은 바깥세상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어찌 되건 죽음은 피할 수 없는 것이지만, 난 뿌리로 태어난 뒤 단 한 번도 흙 속을 벗어나 본 일이 없다. 물론 당연한 이야기다. 게다가 사실은 바깥세상이라는 것에 별 관심도 없다. 왜냐하면 나는 뿌리이기 때문에 땅 속에만 있는 것이 숙명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떠한 또 다른 운명이 숙명을 밀어내는 일도 자주 있는 일이다. 그래서 삶이라는 것은 도무지 예측할 수가 없다. 너무 많은 운명들이 혼돈의 모습을 하고 사방팔방으로 뛰어다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운명이라는 것이 운명이 아니라 단순히 무질서한 우연들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여하간 그것을 운명이라고 부를지 우연이라고 부를지, 나로서는 판단할 도리가 없다. 나는 그저 물을 마시고 줄기로 올려 보내는 뿌리로 태어났기 때문이다. 깊은 사색이나 철학은 나와 그다지 관련이 없는 일이다. 그런데 너무 오랫동안―도대체 며칠간인지 몇 주 간인지는 모르겠으나― 익사의 고통에 시달리다보니 생각하는 능력이 점점 비대해지고 있는 것 같다. 생명을 위해 설계된 나의 존재조건이 아이러니하게도 날 죽음으로 몰아넣고 있으니 이런저런 고민이 떠오르는 것이다. 애당초 비란 왜 오는 것인가? 우리 식물들이 살기 위해서 비가 내리는 것은 축복과 같은 일이지만 이렇게 몸체가 썩어버릴 정도로 비가 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치에 맞는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비가 오고 오지 않고 하는 것은 이치랑은 별 상관이 없는 일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그것은 그냥 무작위하게 퍼붓거나 퍼붓지 않거나, 아무 당위성도 없이 마구잡이로 일어나는 일인 것 같다. 그렇게 생각하다보면 내가 오로지 물을 마시게만 설계된 것도 아무런 정당성이나 계획도 없는 우연한 일이 아닌가 싶다. 나는 본능적으로 계속 살기를 원하지만 이 세계의 환경이나 심지어는 나의 존재형태조차도 내가 살고 말고 하는 것과는 연관이 없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생각하면 나를 포함한 이 세상의 모든 사건들은 참으로 우연하고 무자비한 것이다. 원론적으로 파고들자면 애당초 내가 태어난 것에조차 이유가 있기나 하느냔 말이다.
이러한 생각들을 하는 와중에 퍼붓는 빗물로 인하여 이미 나의 몇 가닥의 뿌리는 썩어서 기능하지 못하게 되어버렸다. 내 위로 솟은 줄기와 잎들이 죽음의 고통에 신음하는 소리가 여기까지 들려오는 것 같고 나는 몹시 심란하다. 나는 내 유일한 동료인 내 가까이로 잔뿌리를 뻗은 다른 뿌리에게 짧고 툭툭 끊어지는 한탄을 해보았다. 그러자 그는 「세상의 생명들이 죄를 지으면, 이 세상에 사는 것들이 전부 홍수 속에서 휩쓸려 죽어버린다고 한다」고 처음 듣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나는 점점 썩어가면서 과연 내가 지은 죄라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하고 골똘히 생각해 보았으나 기억에 있는 것은 아무 근거도 없이 무차별하게 일어나버린 나의 탄생뿐이었다.
아주 오래 전에, 어쩌면 얼마 전에. 한 소년이 내 위에서 랭보를 읽었다. 나는 그가 시집의 단어 하나하나를 발음하며 읽었다고 명확히 기억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그저 잉잉거리는 날벌레 소리였을지도 모른다. 나는 내가 이 연못 위에 꽤나 오랫동안 떠있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을지도 모른다. 애당초 과거라는 것은 잘려진 반죽처럼 토막토막 나있는 것이 아니라 시간 순서에 관계없이 뒤죽박죽으로 뭉쳐진 것이기 때문에 어느 사건의 시간대를 특정시키는 것이 내겐 커다란 골치다. 아무튼 확실한 것은 그 소년이 내 위에서 랭보를 읽었다는 것인데―그런데 어쩌면 보들레르일지도 모르겠다, 여하간 그 낭송하는 목소리인지 날벌레의 날갯소리인지가 불어의 어휘였다는 것은 말할 수 있다― 나는 그 낭송하는 소리를 배경으로 연못가에 핀 홍련을 기분 좋게 바라보고 있었다. 소년은 시 대여섯 편을 읽더니 떠났고, 그 이후로 단 한 번도 돌아온 일이 없다. 그 이후로 나는 가끔 이해하지도 못하는 불어 어휘의 조각조각을 흥얼거리면서 연못 위에 떠있다. 그리고 철이 바뀔 때마다 홍련은 피는 위치가 달라진다. 가끔은 내 시선 밖에서 피어있는 듯 전혀 보이지 않을 때도 있다. 그럴 때면 나는 조금 우울하거나 화가 나서 몸을 뒤틀어 물결을 만들곤 하는데 실상 아무 의미도 없는 짓이다. 그러나 또 철이 지나면 홍련은 무작위하게 아무 곳에나, 딱 한 송이만 피는 것이므로 기다림을 미덕으로 삼을 수도 있다. 그런데 기다림이 미덕이라니, 그건 또 무슨 말인가? 내 몸도 한 때는 단단하고 연못 위에 똑바로 서있었다. 그러나 홍련이라거나 어떤 시를 읽는 소년이라거나 불어어휘 따위를 기다리는 사이 몸은 물에 불어 물렁물렁해졌고 나는 이미 몸의 반 정도를 연못 속에 처박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과거란 혼란스러운 것이라서 얼마라고는 할 수 없지만 그 랭보를 읽던 소년 이후로 어느 누구도 내 위에 올라탄 일이 없다. 내 나무 몸체에 물이 스며들어 천천히 침수하는 내내 연꽃들은 피었다가 순식간에 죽었고 그 뒤 죽음이 거짓말이었다는 듯이 다시 피어났다. 그러나 나는 뻣뻣한 정자亭子라서 그러한 죽음과 부활의 기적을 기대할 수도 없는 몸이다. 나는 지금도 어렴풋이 생각나는 불어의 어휘들을 중얼대고 있지만 주변에는 여전히 사람의 기척 따위는 없다. 과연 내 삶도 한때는 꿀과 술이 넘치는 축제였다거나 갑판에 끌어내려진 알바트로스처럼 비극적인 것일 수도 있을까 싶지만 그것은 허황된 망상일 뿐이고 내 기억은 여전히 시집을 읽던 단 한 명의 소년에게만 못박혀있고 몸은 점점 침수되는 중이다. 언젠가 내가 완전히 물에 잠겨버린다면 이 연못이 그리 깊지 않은 관계로 지붕만이 우스꽝스럽게 수면 위로 솟아있게 될 것이다. 그때부터는 물속의 녹색 이끼나 올챙이들만을 쳐다보면서 살아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홍련은 여기저기서 필 테지만, 나는 볼 수 없을 것이다. 이미 반쯤 침수된 내 위에서, 앞으로도 누군가가 시를 읽는 일은 없을 것이고, 단 한 가지 기다림에 대한 미덕이 있다면 그것은 내가 연못 속에서 나뭇결이 완전히 녹아 흩어져버리는 것에 대한 기다림일 것이다. 그러나 그 때가 언제일지는 나로서는 전연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