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은 몸과 썩지 않는 눈동자와 마비된 사상


존재의 과잉 때문에 삶이라는 것이 더럽게 퍽퍽합니다. 사실 나는 어릴 때부터 닭 가슴살을 싫어하지 않았던가요. 그런데 어른이 되어 담배를 물고 술병을 물고 약통을 물다보니 어느새 내 영혼부터가 닭 가슴살보다도 수분이 하등해진 것입니다. 이놈의 인생을 매끄럽게 굴리려면 기름이라도 쳐야할 텐데, 기름을 치기 이전에 나사들은 사이즈가 안 맞고 엔진은 이십사 시간 과열상태입니다. 어려서부터 길가에 버려진 고철들을 보면 모조리 주워서 내 가슴에 담아둔 탓입니다. 나는 도무지 길가에 버려진 작고 커다란 고철들을 내버려둘 수가 없었습니다. 그것들도 누군가에게 버려진 것이 아니었겠습니까. 그리고 그 고철들을 내버린 사람들이 보기에 나는 살아 움직이는 고철 그 자체였을 것입니다. 버려진 것이 버려진 것들을 어떻게 또 버릴 수 있겠습니까. 쓰레기와 녹의 냄새가 나는 팔에라도 담아 끌어안아야지요. 그런데 이상한 일이 있습니다. 항상 고철들과만 피와 고기로 교감을 나누다보니 살아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이상하리만치 냉담해진 것입니다. 이것도 패배주의가 낳은 부작용일까요? 나는 항상 손가락이 서너 개 잘리고 흉터를 가진 손들과만 악수를 한다는 것입니다. 하얗고 깨끗하게 다듬어진, 대리석으로 만든 것 같은 고귀한 손들은 가까이만 닿아도 소름이 끼칩니다. 그래서 내가 잡았던 소녀의 손에는 담뱃진이 눌어붙어 있었고, 눈동자에 젖과 꿀과 ―당연하게도―눈물이 흐르던 여인의 손은 오랜 절망과 신에 대한 고뇌로 깎여나가 있었습니다. 내 눈동자에는 술이 머금어져있었고 희망을 만나면 거의 반사적으로 경계부터 했었습니다. 내가 여인들의 손에 눈물을 떨구었던 것은 행복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고독을 부채질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됩니다. 그놈의 고독, 고독, 고독. 참 쉬운 말이고 쉬운 단어입니다. 그런데 고독의 뒷면에는 주체가 과잉되어 손가락마저 불어터져 아무 것도 잡을 수 없는 서러운 마스크가 있습니다. 고독은 우리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흘러들어오려고 오는 것입니다. 나는 과잉되어서, 술을 마시면 토하고 담배를 피우면 허파를 쥐어짜고 약을 먹으면 정신을 사방으로 뿌려대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내가 이용할 수도 없는 부풀어 오른 개념들은 여전히 나에게는 너무 많은 것입니다. 존재의 과잉이 나를 짓눌러 죽이고 있다고 외쳐왔습니다. 아니 그것은 나를 죽이지는 않지요. 사실은 죽이지도 살리지도 않고 영원한 경계선의 한복판에 거적처럼 걸쳐놓는 것이지요. 나는 행동주의자가 되기에는 너무 녹슬었고 이론 속에 파묻히기에는 너무 뜨겁습니다. 내 피는 쓸모없는 것들의 용광로처럼 되어버렸습니다. 현실에 배설 당했으나 공기보다 가벼운 두 발 때문에 항상 어설픈 고도에서 거꾸로 부유합니다. 음식을 먹으면 항상 토하고 싶은 것도 내가 거꾸로 떠다니기 때문일 테지요. 이박삼일을 자도 술이 깨지 않는 것은 뇌에 피가 몰렸기 때문일 테지요. 한때는 니체에 미쳐 칼을 쥐고 다니고, 카뮈에 미쳐 무감각의 마을에서 피를 찾아다니기도 했는데, 사상이라는 것도 오만가지 이유에 의하여 삭아버리는 것이었습니다. 배부른 기득권층도 분노하는 혁명가도 될 수 없도록 아주 애매하고 미묘하게 삭아버리는 것이었습니다. 존재의 무게가 점점 과잉되도록 아주 적절하게 삭아버리는 것이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언젠가 존재의 무게가 아니라 존재의 쪽팔림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만, 다른 쪽으로 생각해보면 이 지랄 맞게 과잉된 상태가 최종국면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애매하고 어디로 향할 수도 없는, 철로에 덜컥 발이 끼어버린 상태가 내가 가고자 했던 길과 어쩔 수 없이 가야만 했던 길이 합쳐진 행로의 결말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나, 그래서 나는 철로에 덜컥 발이 낀 채로, 부디 철마 하나 달려와 주기를 뻔뻔하게 기원하는 것입니다.

Posted by Lim_
:

우리 집 가는 길

글/시 2014. 9. 20. 09:25 |
우리 집 가는 길


담배연기가 초승달을 쓰다듬는다.
저 달은 지금까지
새벽에 잠 못 이루고 니코틴과 타르로
쨍쨍 얼어붙은 가슴 녹이는 사람들의
체취와 연기 낀 한숨을
모조리 숨 쉬어 주었다.

달나라에는 폐암이 한창이겠지
사람들이 도시에 살기 시작한 이래로
네온사인과 가로등 불빛이
밤을 비추게 된 이래로
달나라에는 항상 폐암이 유행하겠지.

그러니 아픈 사람들아
그 아픈 피와 고기와 살거죽과
손톱과 발톱과 고드름 돋은
뇌수까지 전부 버리고 가자
그러나 뼈는 남겨두고 가자
평생 아파 본 일 없는 사람들이
그 쉽사리 부서지는 뼈를 보고
입 꼬리나마 일그러트릴 수 있도록.

아파 본 일 없는 사람들은
항상 병과 죽음 그것이 걱정이더라.
그런데 우리는 병이 자신인지
자신이 병인지 아니면 병이라는 것이
자궁 속에서도 함께하던 형제인지
알 수가 없지 않던가. 우리는 그저
아픔과 사는 것이 체질이라고
흉터 위에 흉터를 덧씌우지 않았던가.

바닥에서 위를 쳐다본다.
그리 깊지도 않은 바닥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보면
하늘에는 청록빛 파도가 출렁이고
발밑에선 구름들이 찢어진 채 흐르고
날개가 커다란 새들 몇몇은
뒤집어진 채 날고 있다. 사방에
초록색 불꽃이다.

창공의 어느 골목으로 들어가야
한 번도 문을 열어본 적 없는 우리 집일까?
이불 위에 잔디가 돋은
파랗고 어둡고 높은
아무도 문 두드리지 않는 내 집일까.
사다리 타고 내려가는 길에
너무 고독해서 헌혈하러 가는 사람들을 위한
막걸리 공장 하나 있는
그런 집이면 좋겠다.

달나라에 있는 오두막에
무화과나무 하나 심고
달이 한 번 돌 때마다 무화과 하나 먹으면
음식도 술도, 서러운 가슴에 채워 넣을
담배연기도 필요 없는
그런 집에서 살면
좋겠더라.
Posted by Lim_
:

술잔에 잠긴 조롱

글/시 2014. 9. 17. 22:20 |
술잔에 잠긴 조롱


밤이 딸그락 딸그락 소리를 내면서
허파에 들어차는 시간이면
나는 옛날 애인들을 생각하고
희극이란 것을 겪어본 일이 없는
내 연애사를 생각하고
삼류 통속 드라마에나 나올 법한
그런 꿈을 꾼다. 뜬 눈으로.

뜬 눈으로 나는
내가 자학하며 내쫓았던 그 소녀를 생각하고
사랑이 무엇인지도 몰라서
사랑하고자 해도 사랑할 수 없었던
어린 날의 유사연애를 조롱하고,
그러나 지금에야 조롱할 수 있는 것이다
과거의 나는
항상 현재의 나에게 비굴하니까.

뜬 눈으로 나는, 세상
어느 곳보다 추운 곳에서 자랐기에
오히려 내 추위를 가시게 만들었던 그녀에게
몇 편의 시와 엽서를 보내고
내 수첩에
생경한 희망의 구절들을 머뭇거리며 끄적이게 만든
그녀 앞에서 오로지 경계하는
들짐승이었던 나를 생각하고
파르르 떨리는 침묵에 잠기는 것이다.

뜬 눈으로 꿈을 꿀 때
나는 온갖 옛날 연인들이 뒤섞인 여자를
사랑하고 애원하였는데
유감스럽게도 그녀는 레즈비언이었다. 이제는 꿈마저
삼류 신파극이다. 나는 비극이
코미디가 되어가는 와중에 있나.

그 외에도 수많은
몇몇은 이름은 기억하고
몇몇은 이름도 기억나지 않는
흡사한 윤곽과 색깔을 지닌 소녀와 여인들이여

그래서 나는
한 달에 한 번은 이름마저 기억나지 않는
그녀들을 위하며 술을 마시고
또 한 달에 한 번은
이름은 기억나는 그녀들을 생각하며
술을 마시는 것이다.

그리고 언젠가 통속 연애 시로 바글거리던
머릿속을 알코올이 깨끗이 지우고
그 자리에 흰 공백과 휘발성의 향기를 남겨두면
나는 희희거리며
또 실패할, 차라리 실패하기 위해
연애라는 장난을 향해 손을 뻗고
다른 한 손에는, 사랑이라는 코미디를 위한
한 잔의 독한 술을 들고 있는 것이다. 건배.

아. 포도주가 왜 이렇게 단가.
아무래도 냉장고에 있던 것은
포도주 병이 아니었나보다.
Posted by Lim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