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로 앞에서
과거에, 삶을 살아가려면 목적은 없더라도 동기 정도는 있어야한다는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무슨 생각으로 그런 글을 썼는지는 이제 기억나지 않지만, 어렴풋한 감각으로 그때는 동기 같은 것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물론 삶의 발현이란 참 어이없이, 의지도 없이 벌어지는 일입니다. 나의 어떤 것이 세상과 육신을 원해서 벌어진 일인지 알아차릴 새도 없이 생겨나는 일입니다. 그렇게 세상에 떨어지고 헤매고 헤매기만 하다가, 어라, 발자국을 지울 새도 없이 스러져버리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지. 동기를 찾을 시간도 빡빡한 것이 사실입니다.
처음 얘기로 되돌아가자면, 동기는 사실 무엇이 되었든 주변에서 가치판단도 해주지 않습니다. 만약 해주더라도 별 의미가 없습니다. 말 그대로 자신의 삶의 동기이니까요. 남이 뭐라고 하건 귓가에 다가오지도 않습니다. 그야말로 한 발짝 한 발짝 수미산과 같은 무게를 짊어지고 걸어 나가게 하는 유일한 원동력인데, 누가 그것은 올바르지가 않다 합당하지가 않다 하는 소리를 들을 여유도 없는 것입니다. 제 경우에는 살면서 수집해온 불행과 고통을 아름답게 꾸며 여기저기 집어던지는 짓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유쾌한 얼굴을 하고서는, 길가는 사람 면전에 고통을 집어던지는 취미 고약한 짓이 삶의 동기가 아니었던가 싶습니다. 참으로 만년에나 돌이켜볼 수치스러운 삶을 일찍도 알아차리게 되었군요. 사람들과 유대를 갖거나 혹은 불행의 굴레를 해결할 방법도 낯선 일이라, 내가 해결하지 못한 존재의 공허함을 그럴듯한 언어로 묶어 온 세상 사람들이 다 함께 나처럼 바닥도 없는 나락에 추락하게 되어라, 저주 같은 말이나 백지에 새기고 있었습니다.
저번 달이었나요. 살아가지도 못하겠고 그러나 죽어버릴 이유도 못 찾겠는, 제철을 넘겨버린 벌레 같은 마음으로 산사에서 기거할 때, 남동생이 찾아왔었지요. 열 살 가까이 나는 나이차 때문인지 평생 참 예뻐한 아이입니다. 그러고 보니 이제는 아이라고도 부를 수도 없군요. 아무튼 배추밭 옆에서 평생 변한 일 없는 미소를 지으며 터벅터벅, 형, 하며 내게로 다가왔습니다.
무슨 표정을 지어야하지. 아무래도 웃는 게 좋을 것 같다. 그런 생각을 한 것이야말로 이제 심장도 혈액도 죄다 어디다 빠트리고 온 증거로구나. 나는 그냥 자포자기의 심정으로 입술을 일그러트렸습니다.
이 아이의 형은 도대체 어디로 갔는지.
응, 너무 혼란스러워 기억이라고도 못 할 기억만 있는 어린 시절은 그래도 외롭지 않았다. 가끔가다 단어로도 정의하지 못할 유령 같은 것들이 대낮에 지나다녔고, 태양은 소리가 나지 않았고, 중이염을 앓는 귀는 어머니의 목소리도 제대로 듣지 못했다.
세상의 혼돈이라는 파도가 피부 안쪽으로 밀려들어오던 시절이었다. 외롭지 않았다.
밤엔 자고 낮엔 일을 한다는 것이 참 성스럽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그것은 사람의 정신을 단단하게 두들기는 대장장이 같은 일입니다. 뜨겁게 달궈 망치로 두들기는 정신에는 우울이라는 잡균들이 들러붙지도 못하는 모양입니다. 그렇게 되면 규칙성 있고 사소한 일상들이 강인한 삶의 연속성이 됩니다.
겨울에도 푸르른 침엽수를 보다가 어처구니없는 순정으로 절망에 무릎 꿇는, 그런 이상한 인간이 동경하고 마는 연속성입니다. 애당초 동기도 목적도 필요 없었던 것입니다. 사람이 죽지 않는 일에 필요한 것은, 미래를 가늠하지 않는 마음입니다.
내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