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의식은 세계에 대항하고자 채식주의를 바라지만
내 무의식은 한 조각의 맛좋은 고기를 달라고 울부짖네
어떻게하란 말인가.>

주인공 중 한명인 '작가'의 독백.
작품 내내 이어지는 작가의 대사들은 대화상대가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혼잣말이나 다름이 없다.
자기자신만의 고뇌와 갈등에 갇혀 세계와 마음을 터놓고 대화하는 것이 불가능한, 완전한 '작가적 인물'.
가장 대사가 많은 그의 말들은 주로 카메라를 응시하며 내뱉어진다.

<내가 그곳에 들어갔다고 쳐
천재가 되어서 세상으로 돌아가는 거지
작가가 글을 쓰는 이유는 의혹과 번뇌 때문이야
늘 자신과 세상에게 끊임없이 증명하려는 거지
그 자신이 가치롭다는 것을 말야
만약 내가 천재라는 걸 확신하게 된다면?
글을 뭐하러 쓰겠어?
이유가 도대체 없잖아.>

그곳에 들어간 자의 소원을 들어준다는 '구역'에 자신이 들어가 영감을 얻고 천재가 되는 상황을 상정하며 자신의 패러독스를 고백하는 작가.
고백. 그는 계속해서 고백한다. 말상대인 '교수'가 그의 혼잣말 같은 고백들에 질려 짜증을 부려도 그는 멈추지 않는다.
애당초 그에게 말상대란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분명 그의 고백과 그의 작품들은 무척이나 닮아있을 것이다.
글을 쓰는 작가에게 독자란 실존하는 인간(귀와 입)이 아니다.
그것은 가정(supposition)이다.
어떻게 보면 그는 작가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대화상대가 눈앞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독백을 읊는 것일지도 모른다.
까뮈의 <전락>의 화자인 클라망스를 떠오르게 한다.

<그리하여 여름은 갔다/기념비 하나 남기지 않고서
태양은 따사롭지만/여전히 충분치는 않도다
모든 진실이 이루어졌도다
마치 손바닥에 오므려 접은/다섯 손가락의 솜털인양
충분하지 않을 뿐
그루갈이 끝에도/악마는 물러가지 않았다
세상은 축제처럼 흥청거리나/그것도 충분치는 않다
영원한 삶이 나를 먹이고/보살피고 웃게 하고 있었다
나는 행운아였다/그러나 충분치는 않았다
잎사귀들은 하나도 마르지 않고/사지는 하나도 부러지지 않고
유리처럼 마알간 한낮/그러나 충분치는 않았다.>

일행이 전부 멀쩡히 '구역'에 도착하자 기쁘다며 다소 흥분한 모습을 보이는 '잠입자'.
죽은 '멧돼지'의 동생이 지었다는 시를 암송한다.
'잠입자'의 떨리는 목소리가 만들어내는 운율이 인상 깊다.


 본문에 사용된 이미지는 전부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습니다.
Posted by Lim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