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꽃
아파트 화단에 붉은 꽃이 피었다. 내가 사는 아파트가 아니다. 가깝고 재떨이가 있어서 자주 오는 것뿐이다. 누군가 낡은 접이의자를 가져다놓은 것이 좋다. 요새는 아무것도 안하고 그냥 서있어도 다리가 무너질 것 같다. 아무튼 무슨 꽃인지는 몰라도 아주 새빨갛게 피었다. 해가 넘어갈 무렵이라 사방에 그늘이 졌는데도 꽃은 이질적으로 붉었다. 접이의자에 앉아 느릿느릿 담배를 피우면서, 이렇다 할 의식도 없이 꽃을 보고 있었다. 무슨 연관이 지어졌는지 역사상 유명한 화가들에 대한 생각을 했다. 어쩌면 그들의 시신경은 돌연변이적인 것이 아닐까? 나는 이 꽃을 보고 있어봤자 밤에 핀 붉은 꽃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이것이 딱히 아름답다거나, 미학적으로 가치가 있다거나, 하여간에 무슨 정신적 유희거리라도 되리라는 생각은 전혀 없다. 비단 꽃뿐만이 아니라 세상에 여기저기 뿌려져있는 오브젝트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화가들은 무엇을 보는 걸까? 그들이 그린 그림들에 대해서, 화가들은 아마도 무언가의 아름다움을 발견했기 때문에 그것을 굳이 캔버스에 옮겨놓는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그런데 나에게 있어서 이런 행위는 뭐라고나 할까, 정신적이거나 심미안과 관련된 그런 게 아니고, 그냥 그들의 시신경이 남들과는 다른, 난폭하게 말하자면 기형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보편적으로 보일 리가 없는 화상을 보고 그림을 그리는 게 아닌가 싶은 것이다.
나는 해바라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아니고, 만약 길거리에 피어있다면 아, 멀대같은 꽃이군, 그런 감상을 하고 그냥 지나쳐버릴 정도의 물건으로 밖에 생각하지 않았다. 4년 전인가 경상남도에 머물 때, 밤에 차를 끓이다가 끓는 물을 오른쪽 발등에 쏟아버린 일이 있었다. 흔히들 입는 화상 정도가 아니라 오른발이 삶은 고기가 되어버렸다. 기절할 정도의 통증이 지속됐지만 나는 즉시 병원에 가지 않았다. 일단 나에게는 자가용은커녕 운전면허도 없었고, 병원에 가려면 같이 사는 노부인을 깨워야했다. 그러나 그녀는 이미 잠에 들어있을 시간이었고, 잠든 노부인을 깨우는 건 민폐라고 생각해 미련하게 끙끙 앓으며 밤을 새웠다. 아침이 돼서야 병원에 갔고, 노부인은 왜 깨우지 않았냐고 타박하고, 심지어 그때 나는 병원비도 없었기 때문에 그녀가 치료비를 전부 내주었다. 한 달 정도 일주일에 한 번씩 노부인이 운전하는 차를 타고 통원치료를 했다. 그녀가 모든 치료비와 약값을 내주었다. 그때부터 그녀와 대화하게 되면 어쩐지 의기소침하게 되었던 것 같다. 지금도 오른발은 흉터가 흉측하고 만지면 감각이 없다.
1년 전에 나는 이미 서울로 돌아와 있었다. 노부인에게서 소포가 왔는데 한 상자 가득한 책들이었다. 책장 정리를 하다 보니 내가 좋아할만한 책들이 보여 선물로 보낸다는 노부인의 카드가 함께 들어있었다. 그 중에는 빈센트 반 고흐의 화집도 있었다. 언제 어디서 구매한 건지 텍스트가 전부 영어로 되어있는, 영국이나 미국의 출판사에서 낸 화집이었다. 해바라기 그림이 아름다웠다. 꽃 주제에 비현실성과 괴물성을 표현하며 비극적인 아름다움을 갖고 있었다. 즉시 나는 현실의 해바라기도 좋아하게 되었다. 해바라기를 볼 때마다 이미 죽은 반 고흐의 시각소자를 빌려와 꽃을 보는 것 같았다.
그들의 시각은 분명히 이상하다. 이상하다고 할 정도는 아닐지 몰라도, 적어도 나와는 전혀 닮지 않았다. 그러고 보니 반 고흐가 황시증과 이비인후과적 질환을 앓았다는 얘기를 어디서 본 것 같기도 하고……. 여하간 나는 꽁초를 쥔 채 이름 모를 붉은 꽃을 보면서, 누군가는 이 물체를 보고 아름답다고 여기겠지, 내가 그렇게 여기지 못한다는 것이 유감일 것도 없지만 유감으로 느껴졌다.
그렇게 앉은 채로 죽은 인간마냥 담배를 피우고 있는데 아파트 건물에서 30대 쯤 되어 보이는 남자가 나왔다. 큰 소리로 통화를 하기 시작했다. 맥락을 들어보니 자신의 어린 조카와 통화를 하는 것 같았다. 목소리만 들어도 그가 자신의 조카를 티 없이 맑은 마음으로, 커다랗게 사랑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미지근한 봄바람과 남자의 생기 넘치는 목소리가 날 우울하게 만들었다. 담배는 이미 다 탔다. 빈맥이 있는 것 같다고 생각하며 집으로 돌아왔다. 납덩이를 삼킨 듯한 마음으로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다.